본문 바로가기
생태환경 보전

하논에 용천수가 부족하다.

by 나그네 길 2022. 5. 3.

서귀포 하논분화구는 제주에서 유일하게 용천수를 이용하여 논농사를 짓고 있는 지역이다. 

 

5만년 전 수성화산의 폭발로 형성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마르형 하논분화구는 용천수가 풍부히 솟아나면서 화구호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500년 전 호수의 물을 빼내고 논농사를 짓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2022년 4월 22일 하논분화구 몰망수>

용천수는 땅에서 솟아나는 샘물을 말한다.

하논분화구 동쪽에는 가장 수량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는 몰망수가 있어 1일 1,000~5,000㎥ 상당의 용천수가 솟아나 하논에 물을 공급해 주는 원천이 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들어 이 몰망수 용천수가 말라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2018년에는 1~2월 겨울에 몰망수가 말랐었는데 4년이 지난 올 해는 1월부터 봄이 한창인 4월 22일까지도 물이 없었다. 

  

내가 처음 하논분화구를 탐방했던 당시 2010년 봄에는 하논에 물이 넘쳐났다.

물은 분화구내에 있는 감귤과수원 바닥까지도 넘쳐 흘렀을 정도로 풍부한 수량이었으며 수로를 통해 흘러내렸다.

그때 하논의 많은 물은 분화구에서 가장 낮은 남서쪽 수로를 통하여 천지연까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0년 전에만 해도 하논에는 26,000여 평의 논에서 1,500가마(40kg)의 쌀을 생산했었다.

그런데 이제 논농사 면적은 40% 이상 줄어 든 15,000평 정도이며 쌀 수확량도 600가마(40kg) 정도로 줄었다.

 

하논쌀은 쌀알이 작고 딱딱해서 육지부에 쌀에 비하여 비교적 맛이 없다는 평이지만, 제주에서 생산했다는 독특한 쌀이어서 찾는 사람도 종종있다. 하지만 하논쌀을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곳은 주정 공장으로 알려진다. 

 

최근 기후 위기를 맞아 하논은 수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논농사 면적도 계속 줄어 들고 있다.

하논의 말라버린 몰망수에는 다행히 지난 주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해갈은 되었으나, 겨우 몰망수의 바닥을 감출 정도로 고인물일 뿐 바닥에서 풍부한 용천수가 솟아 나지 않고 있어 하논의 물 부족은 여전할것 같다.

 

<2022년 5월 2일 하논몰망수(5일전에 100mm 정도 비가 내렸다.>

하논분화구에는 용천수가 다량으로 솟아나는 곳이 4개소가 있다.

1. 몰망수(사진 위) : 서귀포시 서홍동 999번지 일대로 가장 많은 물이 나오는 곳인데 최근 수량이 줄었다.

탐라지(1653년)에는 연못에 개구리풀이 많아서 '조연(藻淵)'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근래에 와서 개구리풀과 비슷한 해조류 몸(제주어 몰망)이 연상되기에 몰망수로 부르게 되었다.

 

2. 당물(사진 위)  서귀포시 서홍동 1359번지 일대, 하논분화구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는 길옆에 있는 '당물'은 농부들의 소중한 식수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감귤과수원 농약 작업용 물로 활용되고 있다.

 

3. 동언새미(사진 위) : 호근동 181번지 일대(봉림사 북쪽 과수원내) 동쪽에 있는 물이 차가운 샘이라는 뜻에서 불려진 이름이며, 여기 언새미에서 ''이란? 얼다, 춥다의 제주어이다.

 

4. 섯언새미 : 호근동 189-1번지(봉림사 입구) 서쪽에 있는 물이 차가운 샘이라는 뜻에서 불려진 이름이다. 현재 섯언새미는 도로에 묻혀 찾아보기 힘드나, 봉림사 내에는 섯언새미의 근간을 이르는 용천수가 졸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4개의 용천수가 있음에도 지속되는 가뭄에는 물이 거의 말라버리기에 논농사가 쉽지 않다. 

 

하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늦은 6월 중순이 되어야 모내기를 한다.

그러나 모내기를 위한 모판을 준비하는 과정은 5월초부터 시작되는데, 이렇게 볍씨를 물에 담았다가 모판에 심고 모가 한뼘 만큼 자라게 되면 모내기를 하게 된다.

 

그동안은 논에 물을 담아 습기를 유지해 주어야 하는데 올해처럼 봄 가뭄이 들었을 경우에는 하논에 물이 많이 모자란다고 한다. 그래서 장마철 용천수가 솟아날 때까지 모내기 시기를 최대한 늦추어야 하지만, 아무리 늦어도 7월 5일 이전에는 모내기를 마무리해야만 정상적인 쌀 수확을 할 수 있다고 한다.

 

하논의 수로는 제주어로 '물골'이라 부른다. 이 물골은 '몰망수'에서 나오는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시설을 말하는데, 일제 강점기에 본격적으로 정비가 되었다. 

 

이렇게 '몰망수'와 당물, 그리고 동,서언새미는 '하논'에 논농사를 짓게 만들어 준 수원지였는데, 기후변화로 용천수가 사라져 가고 있으니 이대로는 하논에서 논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몇 년 전, 하논의 용천수를 이용해 태고의 화구호를 복원하려는 계획이 추진되어 반대 활동을 했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이제와 돌아보면 이 정도 용천수를 가지고 바닥 면적 65,000평의 하논분화구에 물을 담아 호수를 만든다는 것은 애초에 잘못된 계획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기후 위기를 맞은 제주에는 먹는 샘물 삼다수를 비롯한 각종 시설에서 쉬지않고 지하수를 퍼 올리고 있어 용천수는 점점 줄어 고갈될 것이 확실하다. 이제는 하논분화구에도 호수 조성보다는 용천수를 보호하려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