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례길 여행길

제주 첫 온주밀감나무의 일생

by 나그네 길 2018. 8. 3.

제주의 첫 온주밀감은

1911년 홍로성당의 프랑스 출신 타케 에밀레오 신부에 의해 

일본에서 14그루를 도입한 것이 시초이다.



당시 일본에서 들여온 온주밀감 나무 중 한 그루가

서홍동 '면형의 집' 정원에 지금까지 살아 남아 감귤열매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수령이 110년도 넘은 타케신부의 온주밀감 나무는

올 여름 폭염을 이기지 못하고 잎이 마르면서 고사 직전에 놓였다.



<2018. 8. 2일 면형의 집>


이 온주밀감나무는  

제주감귤이 '진상품'에서 농민 소득증대를 이루는 '산업화'의

중요한 분기점에 서 있었던 뜻 깊은 나무였다. 


제주 감귤산업의 발전사에 역사적 보전가치가 있는 나무이기도 하다. 


<촬영 : 2014. 11. 22일자>


서귀포시 서홍동 주민들은 이 감귤나무를

"제주 최초의 온주감귤시원지"로 선정 '서홍 8경'으로 지정했을 뿐만 아니라,


마을회관의 비석에  "감귤의 본향 서홍동"에 감귤나무 도입을 새겨 놓기도 했다.  



1911년 홍로성당에 심은 온주밀감나무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1913년 서홍동에 제주 최초의 감귤과수원이 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감귤산업은 서귀포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수백년 가난에 찌들어 왔던 제주 농민들을 잘 살게해 준 '대학나무'가 되었다. 

 

<촬영 : 2015. 12. 4일>


제주 첫 온주밀감나무는 수령이 다 되었는지  

몇 년전부터 수세가 약해지면서 시름거리기 시작 안타까움을 주었다.


<촬영 : 2016. 4. 23일>


2016년 타케신부기념사업을 추진할 당시에

이 밀감나무의 생육이 오래 남지 않은것 같다는 의견들이 있어


최초 온주밀감나무의 상징성으로 살리기 위한 후계목 양성을 추진하였다.


<촬영 : 2017. 3. 29일>


그러나 타케신부기념사업이 본당 차원에서 탄력을 잃어

결국 최초 밀감나무에 대한 후계목 양성 계획도 추진하지 못하고 말았다.


<촬영 : 2018. 4. 28일>


2018. 4월 제주도내 문화예술인들이 모임 '바람난장'에서

타케신부의 온주밀감나무 도입과 제주식물을 위하여 헌신하신 것을 기리는 공연이 있었다.


면형의 집 밀감나무 앞에서 춤과 노래와 시 그리고 퍼포먼스 공연 후

타케신부의 왕벚나무 후계목을 기념식수하고 표지석을 세웠다. 



제주지역 일간신문 '제주신보'에서는

지난 7. 23일 "제주 첫 감귤, 미장온주나무 고사 위기"라는 기사를 내었다.


그리고 '한라일보'의 기자석과 '가톨릭신문사'에서 특별취재도 이어졌다.

 

<촬영 2018. 7. 23일, 제주신보사>


서귀포성당 제3대 주임 타케신부가 심어놓은 온주밀감나무는

우리 천주교회 차원에서 아끼고 더 사랑하고 관리를 잘해야 하는데 별 관심이 없었다.


<2018. 7. 25일 연합뉴스>


제주 첫 감귤, 타케신부 온주밀감나무에 관심을 가지고

차광막과 마포를 감고 물과 영양제 등 이 나무를 살리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


<2018.8.5 서귀포신문>



타케 온주밀감나무가 가지고 있는 제주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사랑하는 사람들!!!

각급 언론사와 문화예술인 그리고 감귤전문가와 서홍동 주민들이었다. 



페이스북을 통하여 이 감귤나무의 고사 위기를 접한 많은 분들이

댓글로 관심글로 걱정과 기도를 보내주고 있다.


아직도 실날같은 희망은 있다.

나무가지에 수액처분을 하면서 마른가지에 새싹이 돋아 나기를 기도하고 있다.


<촬영 : 2018. 8. 2일>


제주 첫 감귤,

타케신부가 심은 온주밀감나무의 후계목을 양성하지 못함에 후회가 크다.

본당 차원의 모든 시비를 이겨내면서 개인적으로라도 후계목을 양성했어야만 했다. 


가톨릭신문(2018.8.12일자) 110년된 타케감귤 고사 위기 보도

http://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97821&acid=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