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07 서귀포 다문화합창단 공연장에서 "하모니로 평화의 바람을!" 깊어가는 가을 밤에 서귀포다문화합창단에서 공연이 있었다. '서귀포다문화합창단'은 외국인 가정과 이주민, 귀농귀촌자와 지역민 등 6개국 51명으로 구성된 음악을 사랑하는 순수한 아마추어들이 모인 합창단이다. 이 다문화합창단은 공연슬로건에서 보듯이 '.. 2016. 11. 17. 폴에이리조트의 무농약 감귤 제주의 무농약 감귤은 맛있다. 그러나 그렇게 예쁘지 않다. 폴에이리조트에서는 사업을 확장하기 위하여 지난 해 리조트 앞에 있는 과수원 1,700여평을 매입하였는데, 거름과 농약 살포가 없었음에도 감귤이 노랗게 익었다. 약간은 곰보스럽지만 개발계획 추진으로 방치된 과수원에서 자.. 2016. 11. 15. 한라산 백록담에서 무려 10년만에 백록담을 만났다. 지난 2006년도 제주지방경찰청 인사계 근무 당시 올랐었는데, 오늘 만나는 이 백록담은 내 일생에서 다시 또 오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성판악에서 출발하여 하산까지 8시간을 걸었으니 이틀째까지도 몸이 제대로 풀리지 않고 있는데, 한라산 정상의 아름다.. 2016. 11. 8. 신축화해길 개장(제주천주교순례길) 제주 천주교순례길인 "신축화해길"이 개장되었다. 일명 "황사평길"이라고 부르는 신축화해길은 황사평성지 - 화북성당 - 별도봉 - 관덕정 - 중앙성당으로 이어지는 총 10.8km의 길이다. 천주교 제주교구에는 총 여섯개의 순례길이 조성되어 있는데. 올 해 개장된 신축화해길은 2012년부터 시작하여 다섯 번째 개장되는 순례길이다. 이 신축화해길은 1901년 제주에서 발생했던 신축교안 당시 희생자 묘역 황사평성지에서 시작되어, 무연고 희생자들이 버려졌던 별도봉을 거쳐, 당시 학살장소였던 관덕정을 지나게 된다. 이 순례길은 신축교안 당시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하여 '황사평길'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제주교구 순례길위원회(위원장 현문권 신부)에서는 신축교안 당시 희생자 뿐만이 아니라 교폐를 입었던 도민들과 상생을 .. 2016. 10. 27. 타케신부 자연생태와 아프리카미술전 성당에서도 미술전을 열 수 있다. 식물을 사랑하여 제주의 자연가치를 빛낸 타케신부와 지구상에서 자연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아프리카 현대미술이 자연생태 영성으로 이어지면서 한국 최남단에 있는 서귀포성당에서 만났다. 사실 가톨릭교회에서의 미술은 성화가 대부분인데, 아프.. 2016. 10. 21. 자비의 해, 남부지구 한마음 축제 최근 제주에는 각종 축제나 야외행사들이 넘쳐나고 있다.이런 행사의 가장 큰 문제는 인원동원으로 주최측에서 가장 고심하는 부분이다. 그래서 야외행사인 경우 날씨, VIP와 함께 참석인원이 많으면행사의 내용과 관계없이 성공했다는 평를 받는 것이 보편적이다. 학생동원이 없어져버린 근래에 제주도내에서 1,000명 이상 참석하는 행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무슨 축제를 아무리 홍보하여도 공무원과 관변단체 회원들이 대부분이며개막식에서 도지사 등 축사가 끝나 내빈들이 퇴장과 동시에공무원과 동원인원이 모두 떠나버리는 축제장은 한산해지게 마련이다. 이렇게 가장 큰 걸림돌인 인원동원을 고심하지 않는 행사가 있는데바로 천주교회 종교계 행사일 것이다. 지난 10.2일 남원생활체육운동장에서 개최하였던 '자비의 해, .. 2016. 10. 20. 축복받은 혼인성사 올 10월은 참으로 아름답고 뜻깊는 계절인것 같다. 내 아들 혼인이라는 집안의 경사가 잘 마무리되었기 느끼는 감정일 것이다. 어버이 마음이 그러하듯이 무언가 부족하게만 느껴졌던 내 아들이었는데, 인생의 여정을 함께 걸어갈 착하고 아름다운 며느리를 맞이하는 기쁨은 더욱 크다. 10.. 2016. 10. 18. 하논성당길 순례자들(2016년) 5년 전까지만 해도 "하논성당"이라는 단어가 없었다. 최근 2010년도에 하논성당터를 찾아내어 만들어진 순례길이기 때문이다. 그 후 2013년도에 강우일 주교님에 의하여 천주교 제주교구 공식 순례길로 선포된 이후에 많은 순례자들이 찾아오고 있다. 지난 해 2015년도에는 매월 400여명 정도 .. 2016. 10. 13. 제주의 식물 - 식물학자 타케신부 제주는 신생대 4기 약 180만년전에 생성되었다. 유라시아 대륙이 생성된지 몇 십억년이 지난 후에 태어난 제주는 아직은 어린 땅이기에 제주의 자연과 무생물까지도 다른 육지 땅에 비하여 싱싱한 까닭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자연의 보고 제주의 식물은 과연 몇종이나 될까? 그리고 제주의.. 2016. 10. 13.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112 다음